유럽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기업 순위 top10 (2024-01-19 기준)

유럽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기업 순위 10곳을 알아봅시다. 2024년 1월 19일 금요일 기준이며 상장사만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노보노디스크 – 덴마크 과거 1923년 인슐린 상업화에 성공한 이 기업은세계 최대의 인슐린 생산기업으로현재까지도 글로벌 점유율 50% 이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당뇨병 시장 점유율로는 30%)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3,740억 4,800만 달러,한화로 약 500조가 약간 안 되는 금액인데 반해 이곳은 4,760억 7,500만 달러,한화 635조 … 더 읽기

연도별 중국 경제성장률 2013-2023년

2013년부터 2023년까지의 중국 경제성장률입니다. 출처는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지난 1월 17일에 발표한 내용이며 2024년 올해의 경제성장률 목표치는 5% 안팎을 내세울 것으로많은 전문가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연도 전년 대비 % 2013년 7.8 2014 7.4 2015 7.0 2016 6.8 2017 6.9 2018 6.7 2019 6.0 2020 2.2 2021 8.4 2022 3.0 2023년 5.2 표> 연도별 중국 경제성장률 추이 2013-2023 … 더 읽기

롯데가 최근 인수 합병한 회사 근황을 알아보자 2024년

다양한 M&A로 그을 성장시킨 롯데최근 성적은 어떨까? 껌으로 재벌을 만들다 괴테의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 등장하는여주인공 '샤를로테'에서 영감을 받아회사 이름을 '롯데'라고 이름 지은 신격호는 1940년대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다양한 사업을 했고우연히 접한 껌을 맛보고는 이것에 꽂혀자신이 직접 개발을 하기 시작함 시중에 나온 제품은 모두 구매하여수 개월 동안 개발에만 몰두했고 이렇게 개발한 껌은 롯데그룹을 탄생시키는데결정적인 역할을 … 더 읽기

2023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많이 팔린 브랜드 순위 TOP20

2023년 브랜드별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의 판매량 TOP20을 살펴볼게요. 1위부터 20위까지 순위는 판매량을 기준으로 했으며2022년 데이터와의 전년 대비 증감률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지난해 2023년 미국에서는 약 1663만여 대의 자동차가 팔렸습니다. 이는 1위부터 20위까지의 가장 많은 판매량이고순위에 포함되지 않은 브랜드까지 합하면 더욱더 많아지는데요. 우리나라가 1년에 약 150~200여 만대가 사이이니미국 시장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습니다. TOP20 확인 미국 … 더 읽기

미국 빅테크 6곳의 수익을 내는 방법에 대해 Araboja [2024년 ver]

세계 최고수준의 빅테크 기업들그들은 어디에서, 얼마나, 어떤 방법으로 수익을 내고 있을까? 며칠 전, 전 세계 시가총액 1위였던 애플을 누르고마이크로소프트 (MS)가시가총액 1위 기업에 새롭게 등극했습니다. MS는 본격적인 인공지능 시대를 열었다 평가받는챗GPT를 개발한 오픈 AI에적극적으로 투자하고 협업하면서 윈도우 OS와 오피스 프로그램, 검색 등의 분야 등거의 모든 상품군에 이 소프트웨어를 녹여냈는데요. 미래 성장성이 워낙 유망하다 보니천하의 애플마저도 시총에서 … 더 읽기

숨 가쁘게 돌아가는 2024년 쿠팡 근황에 대해서 알아보자

쿠팡, 척을 지었던 대형 납품업체와의 화해 제츠처와새로운 시장 개척, 모두 성공할 수 있을까? 쿠팡의 시작 지난 2010년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SNS 사용이 급속도로 늘어나자이것을 활용한 소셜커머스 기업이 국내에서도 출현하기 시작함 티몬과 위메프, 쿠팡이 바로 그러한 업체였음 그중에서도 쿠팡은 한국의 아마존을 꿈꿨음 기업이 납품업체로부터 대거 상품을 매입하고여기에 이윤을 조금 붙여 그것을 다시 소비자에게 판매하면빠른 배송이 가능하고 경쟁력이 … 더 읽기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주요 북한 통계지표 7가지

2023년 북한의 진짜 모습은 어떠한지 통계청에서 주요 북한 통계지표를 발표하다 ※ 이탤릭체 (기울임체)로 되어 있는 것은 글쓴이의 생각입니다. 1.인구 2022년 기준 북한의 인구는 총 2,570만 명으로 남한의 절반 수준남과 북을 모두 합하면 총인구는 7,737만명 출산율은 우리나라보다 나은 편이지만앞으로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내수 1억 명의 인구를 갖춰야 하지 않을까 기대수명은 △남자 71.9세 △여자 78.3세로 남한보다 약 … 더 읽기

2024년 가구 시장은 침체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가구시장과 업계는 2024년에 부활할 수 있을지 근황을 알아보자 1960년대 우리나라에 아파트가 도입되면서비로소 가구 시장이 만들어짐 당시 국내 최초의 브랜드라 할 수 있는 '한국가구'는서양 수출을 목표로 앤티크 스타일의 가구를 선보였고국내에서는 상류층과 거주 외국인만을 상대로 판매했음 70~80년대 목동과 강남, 여의도와 잠실,상계주공등이 줄줄이 생기면서본격적인 가구 시장이 태동했고 88서울 올림픽을 기점으로 한샘과 리바트, 까사미아 등등내로라하는 국내 회사 대부분은이 시기쯤에 … 더 읽기

2024년 1월 파죽지세의 알뜰폰 시장업계 근황

찬밥취급 받던 알뜰폰, 최근 폭발적 인기를 얻다 이명박 정부는 생활비에서통신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지자대선 공약이었던 통신사 요금인하 정책을 시행하게 됨 △기본요금과 가입비 인하 △문자 같은 필수 부가서비스 요금의할인 및 폐지를 요구하며 통신사를 압박함 이에 통신사는 △기본요금 1,000원 이하△문자메시지 50건 무료 제공 등으로 대응했지만실질적인 통신요금 절감 효과는 느끼기 어려웠음 실효성이 없다고 판단한 정부에서 그다음 들고 나온 … 더 읽기

광역지자체와 경기도의 주민등록 인구수 변화 10년 전 vs 현재

10년전과 지금의 주민등록 인구수, 어떻게 변화했을까? 우리나라의 당면한 가장 큰 문제라 하면출산율이 계속해서 줄어들어인구수가 줄어드는 것을 꼽고 있습니다. 생산가능한 인구 감소로 총 수요가 감소하여저축과 투자가 위축되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세금이 감소하다 보니 연금과 복지 서비스 등의사회 안전망도 위협받고 있죠. 그뿐만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들다 보니노동력이 부족해져 기업과 국가 경쟁력까지 저하되고 젊은 세대에서는 부담이 증가하고 고령층의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