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남양주시의 인구 변화와 대표적인 택지개발지구 목록 2025-07

경기도 남양주시의 인구 변화와 대표적인 택지개발지구 목록 2025-07

남양주시는 서울 동북부의 대표적인 주거지로서
지금으로부터 10년 전인 2015년만 하더라도
약 65만명의 인구수를 가진 중급 규모의 도시였음

그러던 것이 대규모 택지 개발과 신도시 조성을 통해
주거 환경이 개선되고
여기저기 새로운 주택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인구가 대폭 증가했고

이와함께 전철 개통 및 도로 확충등의 광역 교통망 개선이 이뤄지면서
인구 유입에 큰 영향을 미쳤음

뿐만 아니라 코로나 전후, 미친듯한 부동산 과열로 인해
서울의 높은 주거 비용을 피해
수도권 외곽으로의 인구 분산이 활발해지면서
남양주가 그 수혜를 톡톡히 입기도 했음

이러한 원인으로 지금은 약 73~74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는데
남양주시의 2035 도시기본계획에 따른 목표에 따르면
2035년까지 100만명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왕숙신도시 – 미완성

남양주시 진접읍 연평리, 내곡리, 내각리, 진건읍 신월리, 진관리,
사능리, 용정리, 송능리, 배양리, 퇴계원읍 퇴계원리 일원에 건설되는
대한민국 3기 신도시임

수도권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로
주택 52,000호, 인구 13만명 수용을 계획하고 있으며
규모는 자그만치 1,604만㎡에 해당됨

직주일체형 도시공간, 대중교통 이용 편리성(GTX-B, 경춘선, S-BRT 등),
그리고 통합 플랫폼을 랜드마크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 글을 쓰고 있는 7월 25일 현재 오늘부터,
본청약이 시작되었음

준공은 2028년까지이나 언제나 그렇듯 2030년 초중반이 되어야
도시다운 도시가 될 듯 싶음

경기도 남양주시의 인구 변화와 대표적인 택지개발지구 목록 2025-07
왕숙신도시 위치도

진접2지구 – 미완성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연평리 일원에
1,292,471㎡ 면적으로 조성될 예정임

진접선(4호선 연장) 및 서울강동부터 이어지는 교통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광릉수목원, 천마산, 왕숙천 등 풍부한 자연환경과 인접해있으며
먼저 건설된 진접지구 및
3기 신도시인 왕숙신도시의 생활 인프라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도
큰 장점으로 뽑힘

공동주택 9693가구를 포함해 총 1만198가구가 공급될 예정임

다산신도시 – 완공

지금보금자리지구 및 진건보금자리지구를 불렸던 곳이었던 다산신도시는
남양주시 다산동 일원 (구 지금동, 도농동, 진건읍 배양리 일원)에 건설되었음

전체 면적 475만㎡의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수용인구 약 86,000여 명, 32,000여 가구 규모로 조성되었음

다른 신도시와 다르게 LH가 아닌
경기도시공사(현 GH)가 사업을 진행했으며
2018년 6월 1단계 사업이 완료되고 2019년 6월 2단계 사업이 완료되었음

경의·중앙선 도농역을 비롯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강변북로 등 교통 접근성이 우수하며

최근에는 경의중앙선 철도를 복개한 상부공간에
주거 및 상업시설 등을 밀집시킨 ‘콤팩트시티’ 조성을 추진하고 있음
(이것이 될지 안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별내신도시 – 완공

남양주시 별내동 일원 (구 별내면 덕송리, 화접리 전역, 광전리 일부)에 건설된 이곳은
5.09㎢ 면적에 24,137세대, 72,411명의 인구 수용을 목표로 했었음

저소득 도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한 국민임대주택 단지 조성과
수도권 주택난 해소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는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덕송-내각고속화도로 등
도로망이 잘 갖춰져 있어 도로 환경이 우수함

경춘선 별내역, 4호선 별내별가람역,
그리고 8호선 별내선이 개통 또는 개통 예정이어서
트리플 역세권의 장점을 가지고 있음

평내호평지구 – 완공

남양주시 평내동 및 호평동 일원에 건설된 이 택지개발지구는
과거 평내택지개발지구 및 호평택지개발지구였음

평내지구는 약 87만㎡ 면적에 약 2만 5천명 인구, 9,190호의 주택을 계획했고호평지구는 다양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었음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중반에 걸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된 구도심 택지지구임

경춘선 평내호평역을 중심으로
주거, 상업, 교육 시설 등이 잘 갖춰져 있으며
경춘선 복선화 및 도로 확장 등 교통 인프라 개선이 이뤄졌음

진접지구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 연평리, 내각리 일원에 건설된 진접지구는
이미 완공된 진접1지구와 이제 막 시작하려는 진접2지구로 나뉨

진접1지구는 2004년경 착공하여 2009년부터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었고,
총 14개 단지가 조성되었음

진접2지구는 위에 언급된 3기 신도시와 함께 발표된
미니 개발지구사업으로 약 1만여명의 수용인구를 가진 곳으로 변모예정임

금곡천을 기준으로 해밀마을과 예당마을로 나뉘어져 있으며,
진접선(4호선) 진접역 개통으로 서울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음

지금도농지구 – 미완성

남양주시 지금동, 도농동 일원에 건설될 예정이며
도시재생 혁신지구라는 다소 낯선 사업으로 시작되었음
(한마디로 재건축임..)

다산동 4039-3 일대에 주거, 상업, 복지 등이 결합된
복합 고밀개발이 추진될 예정이며
총 사업비는 1조 2174억원으로 2031년까지 단계적으로 진행됨

이곳은 과거 뉴타운 재개발 사업이
주민 반대로 중단되었던 노후 지역이었으나

최근 국토교통부 도시재생특위 심의를 거쳐
주거재생 혁신지구 후보지로 선정되어 개발이 확정된 지역임

노후 주거지 정비와 함께 주택 공급 확대, 보육·여가·복지 등
생활 SOC 공급을 통해 도시 기능 회복과 균형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재건축 사업이 빨라도 10년 이상은 걸리니 여기도 비슷한 기간에 완공될 듯함

지난 10년간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상위 5개 도시 순위 2025-07

미국 은행 매출 순위 TOP10 [미국 1등 은행은 어디]

빈땅으로 남아있는 서울시의 금싸라기 개발예정지 5곳의 2024-03 현재 근황

비트코인 수익률 2013-2023년까지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기관과 총원에 대해서 알아보자

댓글 남기기